신호 대기 중이나 정차 시에 시동이 꺼졌다가,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면 다시 켜지는 경험을 매일 하고 계실 겁니다. 바로 'ISG (Idle Stop & Go)' 기능 때문입니다.
많은 운전자분들이 이 기능에 대해 "이거 진짜 연비 절약되는 거 맞아?" "시동모터랑 배터리 수명만 깎아 먹는 거 아냐?" "진동 때문에 짜증 나서 그냥 꺼버릴까?"라는 생각을 합니다. 이 ISG 기능에 대한 모든 오해와 진실에 대해 알아보 왜 이 기능이 AGM 배터리라는 비싼 부품과 연결되어 있는지도 정확히 알려드리겠습니다.
ISG, 왜 모든 차에 달려 나오는가?
ISG 기능은 운전자의 연비를 1%라도 아껴주기 위한 '배려'라기보다는, 제조사의 '생존'을 위한 필수 기능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강화되는 환경 규제(배출가스 총량제) 때문입니다. 자동차 제조사들은 차량 판매 시 발생하는 평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맞춰야 하며, 기준치를 넘기면 천문학적인 벌금을 내야 합니다.
정차 시 엔진을 멈추는 ISG 기능은 '공회전(Idling)' 시 발생하는 배출가스를 '0'으로 만들어, 평균 배출가스 수치를 낮추는 데 가장 효과적이고 저렴한 방법입니다. 그래서 요즘 차에 빠짐없이 탑재되는 것입니다.
연비 절약 진짜 될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네, 됩니다. 단, 조건이 있습니다."
ISG의 핵심은 '공회전'을 줄이는 것입니다. 공회전 시 차량은 주행거리는 '0km'인데도 연료를 계속 소모합니다.
- ISG가 효과적인 환경 :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도심 정체 구간, 신호 대기가 긴 시내 주행에서는 ISG 기능이 3%에서 많게는 10%까지 연비 절감 효과를 가져옵니다.
- ISG가 효과 없는 환경 : 막힘없이 달리는 고속도로나 국도 주행이 90% 이상인 운전자에게는 ISG 기능이 거의 작동하지 않으므로 연비 절감 효과도 미미합니다.
즉, 내 주행 패턴이 '시내 주행' 위주라면 ISG를 켜는 것이 연비 면에서 확실히 이득입니다.
"차 망가진다"라는 속설, 3가지 진실은?
운전자들이 ISG 끄기 버튼(ISG OFF)을 누르는 가장 큰 이유는 '내구성' 걱정 때문입니다.
시동모터(스타터) 금방 고장 난다?
아닙니다. ISG가 탑재된 차량은 일반 시동모터가 아닌, 내구성이 수십 배 강화된 'ISG 전용 스타터' (혹은 MHSG 같은 강화된 시동-발전기)가 장착됩니다. 일반 차량의 스타터가 수명 5만 회를 기준으로 설계된다면, ISG 용 스타터는 30만~50만 회 이상의 잦은 시동을 견디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터보 엔진에 안 좋다?
아닙니다. 차량의 ECU(컴퓨터)는 바보가 아닙니다. 만약 운전자가 고속 주행을 막 마쳐 터보의 후열이 필요하거나, 엔진 오일 온도가 너무 높다고 판단되면 ECU가 스스로 ISG 기능을 비활성화합니다. 차가 알아서 터보를 보호하고 있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배터리 수명만 빨리 닳는다?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ISG 차량에는 일반 납산 배터리가 아닌, AGM 배터리라는 특수 배터리가 들어갑니다.
*AGM (Absorbent Glass Mat) 배터리란? 유리 섬유 매트에 전해액을 흡수시킨 고성능 배터리입니다.
- 특징 : 일반 배터리보다 충·방전 속도가 3~4배 빠르고, 잦은 방전에도 견디는 '딥 사이클' 성능이 매우 뛰어납니다. 시동이 꺼진 상태(ISG 작동)에서도 에어컨, 오디오 등을 사용해야 하므로 필수적입니다.
- 문제점 : 성능이 좋은 만큼 가격이 일반 배터리보다 2~3배 비쌉니다.
ISG, 써야 할까? 꺼야 할까?
ISG 기능은 연비와 환경에는 분명 도움이 되지만, 'AGM 배터리'라는 비싼 소모품을 사용합니다. ISG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면 그만큼 AGM 배터리의 수명도 조금씩 단축될 수밖에 없습니다.
[현명한 ISG 사용 가이드]
켜는 것을 추천 :
- 출퇴근길 정체가 심할 때
- 신호 대기가 1분 이상으로 긴 도심에서 주행할 때
- (연비 절감 효과 > 배터리 소모)
끄는 것을 추천 :
- 차가 10초 섰다가 3초 가는 '극심한 정체 구간' (이때는 잦은 시동이 오히려 비효율적)
- 에어컨/히터를 최대로 틀어야 하는 혹서기/혹한기
- 배터리 교체 시기가 다가왔을 때 (배터리 방전 방지)
ISG 기능 자체는 차를 고장 내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기능이 AGM 배터리라는 비싼 부품을 기반으로 작동한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내 차의 ISG가 예전만큼 잘 작동하지 않는다면, 90% 이상은 AGM 배터리 교체 시기가 다가왔다는 신호이니 미리 점검받으시길 바랍니다.
주차 후 시동 바로 끄면 '터보' 고장 난다고? 300만 원 아끼는 후열 중요성 알아보기
우리의 운전 습관은 대부분 목적지 도착 → P(파킹) → 사이드 브레이크 → 시동 끄기입니다. 특히 주유비가 비싼 요즘, 1초라도 빨리 시동을 끄는 것이 돈을 아끼는 길이라 생각합니다.하지만 이
ntol-01.com
겨울에 'AC 버튼' 누르라고? 운전자 90%가 잘못 아는 겨울철 자동차 상식 알아보기
날씨가 점점 추워지면서 차량 관리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는 시기입니다. 오늘 알려드린 관리법만 잘 알고 있어도 올겨울 운전이 훨씬 쾌적하고 안전해질 수 있습니다. 운전 초보도 쉽게 따라 할
ntol-01.com
엔진오일 교체, 5,000km는 옛말? 내 차 수명을 지키는 진짜 비결 알아보기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엔진오일 교체 주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5,000km마다 엔진오일을 갈아야 한다는 말, 과연 진실일까요? 아니면 시대착오적인 정보일까요? 여러분의 궁금증을
ntol-01.com
밤에 라이트 안 켜는 '운전자' 때문에 대형 사고 난다고? 헷갈리는 미등/하향등/상향등 완벽 정리
밤이 되면 자동차 라이트 사용은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운전자가 라이트 조작에 미숙하여 본인은 물론 타인의 안전까지 위협하고 있습니다. 맞은편 차량의 강
ntol-01.com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차 후 시동 바로 끄면 '터보' 고장 난다고? 300만 원 아끼는 후열 중요성 알아보기 (0) | 2025.10.19 |
---|---|
당신의 '사계절 타이어' 사실은 '캘리포니아용'? 돈 아끼고 안전 지키는 타이어 알아보기 (0) | 2025.10.18 |
겨울에 'AC 버튼' 누르라고? 운전자 90%가 잘못 아는 겨울철 자동차 상식 알아보기 (0) | 2025.10.17 |
자동차 보험료 200만 원? 반값으로 줄이는 방법 알아보기 (0) | 2025.10.16 |
"쿵!" 하는 주차 습관이 부르는 100만 원짜리 수리비? 수리비 폭탄 피하는 완벽 가이드 (0) | 2025.10.15 |
엔진오일 교체, 5,000km는 옛말? 내 차 수명을 지키는 진짜 비결 알아보기 (0) | 2025.10.14 |
밤에 라이트 안 켜는 '운전자' 때문에 대형 사고 난다고? 헷갈리는 미등/하향등/상향등 완벽 정리 (0) | 2025.10.13 |
시동 '먹통' 방전 대참사! 자동차 방전, 5가지 원인과 긴급 대처법 알아보기 (0) | 2025.10.12 |